티메프 미정산 사태와 홈플러스 기업회생 이후, 정부가 추진하는 정산주기 단축은 해법일까요? 학계와 업계는 오히려 중소업체와 소비자 피해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유통업 정산주기 단축, 정말 해법일까?
지난해 티몬·위메프(티메프) 미정산 사태와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 이후, 정부와 정치권은 납품업체 보호를 명분으로 ‘정산주기 단축’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학계와 전문가들은 “획일적인 단축은 오히려 부작용이 크다”는 경고를 내놓고 있습니다.
지난 26일 서울 마포구 서강대학교에서 열린 한국유통법학회·한국유통학회 공동 세미나(출처: 한국유통법학회)에서도 이 같은 우려가 집중적으로 제기됐습니다.

학계의 우려: 중소업체와 소비자 피해
복수의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발제를 맡은 심재한 영남대 교수는 “정산주기가 단축되면 유통업체들이 현금 유동성 부족으로 매입을 줄이게 되고, 이는 곧 중소 납품업체 물량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자금 여력이 큰 대기업 제품만 선호하게 되고, 중소기업·스타트업 제품은 외면받을 수 있다”는 구조적 문제를 강조했습니다. 소비자 피해 가능성도 언급했는데, 현재는 3개월 이내 반품·환불이 가능하지만, 판매자가 10~20일 만에 대금을 받고 사라진다면 불량·짝퉁 상품 피해 구제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겁니다.
업계 사례와 교훈: 문제는 ‘주기’가 아닌 ‘거버넌스’
같은 세미나에서 장명균 호서대 교수는 위메프와 홈플러스 사태의 원인은 ‘정산기간’ 자체가 아니라 자금 관리 실패와 거버넌스 부실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정산 단축보다 기업 재무 건전성 검증이 우선”이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의 구조가 다른데 이를 무시한 획일적 법안은 산업 혼란을 키울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제2의 홈플러스 사태 가능성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박종하 변호사(법무법인 태평양)는 “무리한 단축은 유통사의 현금흐름을 악화시켜 제2의 홈플러스 사태를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 홈플러스는 현금흐름 악화와 신용등급 하락으로 회생절차에 들어갔는데, 재무적으로 취약한 기업에게 정산 단축은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반면 뉴스1 보도에 따르면, 이호택 계명대 교수는 “차등 시행과 정책 지원이 병행된다면, 정산 단축이 유통생태계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와 소비자단체의 시각
이데일리 보도에 따르면,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은 “납품사 보호만 강조되고 소비자 피해 방지는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며 보완 필요성을 짚었습니다.
반면 김태균 공정위 유통대리점정책과장은 “정산 단축은 납품업체 보호를 위한 보완책”이라며, 실태조사와 의견 수렴을 거쳐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중요한 건
‘정산주기 단축’이라는 단일한 해법이 아니라, 유통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거래 구조와 신뢰 회복이 본질입니다. 소비자, 납품업체, 유통사 모두의 균형점을 찾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유통업정산주기 #정산주기단축 #홈플러스사태 #티메프사태 #한국유통법학회 #한국유통학회 #유통업계위기 #납품업체보호 #중소기업피해 #소비자피해 #대규모유통업법 #거버넌스 #자금관리 #유통사현금흐름 #파이낸셜뉴스 #뉴스1 #이데일리 #공정거래위원회 #한국소비자연맹 #지속가능유통 #유통산업정책 #납품사보호 #소비자권익 #유통업분석 #유통업계동향 #정산구조 #유통산업미래 #유통법제화 #산업위기 #유통정책